2008년 어느 매체를 통해서 접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엔 게임회사에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게임에 관심이 많던 때고 ,대학교 1학년때부터 인디 게임 개발팀에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디쪽 게임은 특히 더 관심이 있었던 때다. 어디서였는지는 기억이 정확히 나진 않지만, 아래의 영상을 보고 신선한 자극을 받았었다. 2D인줄 알았던 게임이 3D로 바뀌는 순간과, 그 특성을 이용해서 지형이 바뀌고 지형 자체가 퍼즐이 된다는 개념이 매우 새로웠다. 출시되면 바로 플레이 하려고 생각 했으나, 좀처럼 출시 정보를 얻을 수 없었다. 게임은 여전히 개발중이였고 많은 사람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었는데(...아마도),, 작년에 봤던 다큐멘터리 영화 Indie Game : The Movie 에서 다시 이 게임을 만날 수 ..
잠실 교보문고에서 책을 좀 보러갔다가 습관상 들린 만화책 코너에 눈에 띄는 제목이 보였다. "안녕이란 말도 없이" 감성을 자극시키는 제목과 겉 표지 디자인에 끌려서 골라든 만화책. 여느때와 같이 윗층에서 작품 작업을 하다가 잠시 아내가 있는 곳으로 가보니 이상하게 누워있는 아내를 발견하게되는 작가가, 아내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주위사람에게 그 사실을 알리며 장래절차를 밟는 이야기를 그린 만화다. 소중한 사람을 잃어버린 감정, 그리고 수많은 사람에게 반복적으로 아내의 사망을 전하는 작가의 심정과 아내의 흔적, 과거의 추억 앞으로 아내 없이 보내야 하는 상실감을 많은 만화적 기법을 동원하여 표현을 하고 있다. 책 표지의 눈물이 떨어진듯한 표현도 그중하나.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작가가 객관적..
위대한 승부 (원제 : Searching for bobby fischer)를 보고 그 주인공이 썻다는 책이 있길래 찾아 보았다. 책 상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그리 쉽게 읽힌 책은 아니다. 간략히 느낌점. _ 발달 이론을 믿자. 난 성장할 수 있다. _ 집중의 중요성. 고수는 일반인들의 위기 상황에 집중하는 걸 평소에도 할 수 있단다. 같은 시간을 들이더라도 얻을 수 있는게 다른것은 당연함. _ 자신을 다스리는 법 깨닫기. 안좋은 상황에서도 자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_ 삶과 배움에 대한 깊은 성찰의 중요함. 조지 웨이츠킨은 스스로 생각을 하고 자신을 바라봄으로써 여러가지 배우는 방법을 터득했다. _ 나만의 소프트존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에 대한 고민 _ 나만의 배움의 기술은? ..
오래전 웹서핑을 하다가 발견한 게임 동영상. Braid trailer from David Hellman on Vimeo. 너무 신선한 느낌 이였다. "죽어도 다시 살릴 수 있다니!" X-box용 게임으로 나온게 PC버전으로 나왔다는 소리를 듣고 테스트 버전을 다운 받아 플레이 해본후... 질러 버렸다 -_-;; 슈퍼 마리오 같은 아케이드성 게임으로 오랜 반복으로 익숙해질수록 플레이가 쉬워지는 스타일이 아니라 그보단 퍼즐 게임에 가깝다. 주인공이 죽어도 시간만 되돌리면 다시 살아나기 때문에 애초부터 Game Over라는 개념이 없는 게임이다. 퍼즐 게임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 각 세계마다 고유의 규칙이 숨어 있는데 위 영상에서 보는 것 처럼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는건 모든 세계에 있는 공통 규칙. 어디..
Write in C C로 짜 When I find my code in tons of trouble 내 코드에서 수많은 문제를 발견했을때 friends and colleagues come to me, 친구들과 동료들이 다가와 speaking words of wisdom... 지혜를 말해주었네 Write in C C로 짜 And as the deadline fast approasches, 데드라인이 빠르게 다가오고 and bugs are all that I can see 내게 보이는 모든건 버그들이었네 Somewhere someone whispers: 그때 누군가가 조용히 말했지 Write in C C로 짜 Write in C, Write in C, Write in C, Write in C, C로 짜, C로..
21세기를 바꾸는 교양 (7인7색) 지은이 홍세화 외 상세보기 요즘 유행(?)하는 표현으로 좌빨적 성향이 다분한 책. 가장 좌파적인 한겨례21에서 개최했던 "21세기를 바꾸는 교양" 이라는 제목의 강의를 책 형식으로 엮은 결과물이다. 덕분에 책은 단순한 설명 위주의 책이 아니라 사회자와 청자 그리고 발표자로 이루어져 있다. 박노자, 한홍구, 홍세화, 하종강, 정문태, 오지혜, 다우드 쿠탑 의 7인의 "교양인"들이 자신만의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엮어 나갔다. 한국인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한국인인 나보다 더 많이 한국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 박노자님의 이야기를 읽으며 반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한국의 근 현대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놀라움을 느낄 수 있었다. EBS에서의 지식체널e 나 모 학원 강사의..
장기하와 얼굴들 - 달이차오른다, 가자 장기하와 얼굴들 - 싸구려 커피 M net 의 앨범설명에 있는 글 어렸을 적 소년 장기하는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배철수 아저씨의 목소리를 들으며 "이 사람은 말하는 게 참 음악처럼 들리는구나" 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나이를 먹은 청년 장기하, 어느새 자신도 음악처럼 말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노래를 하기로 마음을 먹은 그는 "역시 가수는 외모가 중요하지"라 생각하여 그렇게 얼굴이 괜찮은 음악인들을 수소문하던 중 운 좋게도 실력마저 출중한 정중엽(베이스/코러스), 이민기(기타/코러스), 김현호(드럼/커퍼션/코러스)를 만나 '장기하와 얼굴들'을 결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우연하게 찾은 댄스홀에서 똑같은 복장으로 무표정하게 춤을 추고 있는 이름 모를 두 여인을 ..

학문을 한다는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낀것이 언제였을까? 전공을 하고 있는 컴퓨터공학을 학문으로 분류하는거엔 이의가 있을 수 있지만 배운다는 의미에서의 학문이라고는 할 수 있다. 부끄럽지만 난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 공부에 즐거움을 느낀적이 별로 없다. 그렇다고 공부를 싫어했다는 것도 아니다. 하고 싶은 공부를 하긴 했지만 즐거움 이라는걸 느끼지 못하는 공부만 하고 있었던거다. 책 제목인 학문의 즐거움을 보며 생각했다. '나도 어렸을땐 공부를 하는거에 대해서 진심으로 즐거워 한적이 있었던거 같은데...' 그런 즐거움을 다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책을 구입했었다. 역시.. 책을 한번 읽는걸로 다시 학문이 즐거워 질리는 없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히로나카 헤이스케의 학..

Yes24리뷰어 클럽의 리뷰어로 선정되서 읽은책, 블랙홀 이야기. 블랙홀은 나에겐 신비의 대상이였다. 블랙홀 이야기라는 책 제목만을 보고 500쪽이 넘는 어마어마한 분량의 책임을 겁내지 않고 덜컥 보고 싶다고 생각할 만큼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초등학교시절 블랙홀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때 부터 밤 하늘 어딘가에 숨어서 모습을 들어내지 않고 있는 블랙홀은 지금까지도 가끔씩 그에 대한 글을 찾아 읽으며 어렸을적 "우주소년단"에 가입해 꿈꾸웠던 천문학자의 꿈을 다시금 떠오르게 한다. 블랙홀 이야기는 찬드라가 블랙홀에 대한 생각을 처음 떠올렸을때부터 그가 죽고 난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집대성한 책이다. 앞서 어마어마한 양이라고 표현했던 500쪽이 적게 느낄정도로 수많은 사람이 나오며 70년이 ..

사랑하지 않으면 떠나라. 개발에 지치거나 프로그래밍에 지쳤을때, 프로그래밍의 재미를 공감하거나 프로그래밍의 재미를 찾는 법을 다시 알고 싶을때 읽는게 이런 IT교양서다. 이 책의 저자 차드 파울러는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바로 재즈 연주가 출신 이라는것. 프로그래밍을 하는 행위를 해커와 화가의 저자 폴 그레이엄이 화가와 빗대어 표현했다면 차드 파울러는 재즈 연주했던 경력을 사용하여 연주가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이라는 책이 있는 것처럼 프로그래밍이 정말 "예술"의 범주에 있어서 가능한 일...? ^^;) 난 중학교 시절부터 꿈꿔오던 게임개발을 시작하면서 현실을 배우기 시작했다. 개발만 하면 즐거울 줄 알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만은 않았고 ..
- Total
- Today
- Yesterday
- LC-Display
- 한빛리더스
- ACM-ICPC
- 자격증
-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 키보드
- OpenGL
- 리눅스마스터1급
- 한빛미디어
- SRM
- Topcoder
- 알고리즘
- u10
- 서태지
- UVA
- 접사
- 병역특례
- 티크루
- 통기타
- 프로그래머 두뇌단련 퍼즐 44제
- WIPI
- 게임회사
- 공부
- Programming Challenges
- 도서감상
- Google Code Jam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C++
- 영화감상
- GX10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